성조숙증에 대해서 한 번쯤 들어봤을 테지만 막상 내 아이에게 의심 증상이 나타났을 때 머릿속이 하얘지면서 성조숙증이 무엇인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막막해질 것이다. 나 또한 성조숙증에 대해서 익히 들었지만 내 딸이 성조숙증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기 시작했을 때, 그리고 병원에 가서 성조숙증 진단을 받았을 때 그야말로 멘붕이었다. 내가 뭘 잘 못해서 내 아이에게 이런 문제가 생긴 건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지? 과연 치료를 받았을 때 커 가는 아이에게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남기진 않을까?라는 생각에 많은 고민을 했던 것 같다. 그래서 나처럼 성조숙증을 잘 몰라서 고민하거나 불안해하는 부모님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포스팅을 해 보고자 한다.
성조숙증 이란?
조발 사춘기라고 하는 성조숙증은 말그대로 사춘기가 이르게 오는 현상이다. 대게 여자는 만 11세~12세 즈음 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 사춘기에 접어드는데 여자 아이의 가슴에 멍울이 만8세 이전에 발달하거나, 남자아이의 경우 만 9세 이전에 고환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 성조숙이 문제가 되는 이유?
적정 시기가 아닌 이른시기에 사춘기가 오는 경우 초경 및 신체변화로 심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뿐 아니라 성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됨에 따라 성장호르몬의 분비도 함께 촉진되기 때문에 겉으로는 잘 크는 것처럼 보이지만 성호르몬의 과다분비로 뼈 나이가 제 나이보다 빠르게 되고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가 빨라져 성인이 되었을때 최종 신장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여아의 경우 초경을 일찍 시작하게 되면 성인이 되어 폐경이 당겨짐에 따라 그에 따른 문제들이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치료시기를 놓치지 말고 성조숙증 치료를 받는 것은 몹시 중요하다.
성조숙증의 원인
- 성조숙증 중 여아의 90%, 남아의 50% 이상의 대부분은 원인을 알수 없는 경우다. 이렇게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뇌종양이나 뇌염 뇌의 선천적 기형 같은 뇌의 구조적 이상 등으로 인해 성조숙증이 발생할 수 도 있다.
- 여아의 경우 난소 낭종에 이해 여성호르몬이 과다분비되고 부신종양에서 성호르몬이 과다분비됨에 따라 성조숙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서 성조숙증 검사를 받으러 가면 이런 문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복부 초음파를 하는 과정을 거친다. 내 아이가 다니는 소아과는 복부 초음파를 할 수 없어서 큰 병원에 가서 복부초음파를 받고 결과를 소아과로 제출하여 진행하였다.
- 성조숙증과 비만은 관련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서구적 식생활과 운동부족은 소아비만으로 이어지고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이라는 호르몬과 다양한 호르몬들이 사춘기를 이르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코로나로 원격수업을 하면서 학교에 가지 않는 아이에게 하루 세끼, 하루 2번의 간식, 고열량의 식단을 주는데 비해 야외 활동을 할 수 없어 운동량이 턱없이 부족했고 토실토실 살이 올랐던 때에 아이의 성조숙증이 찾아온 것을 생각해 보면 비만과 성조숙증은 분명 관계가 있는 듯하다. 따라서 소아비만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사람이나 생물들의 내분비계에 교란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환경호르몬이 성조숙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 되고있다.
- 가족력이 있는 경우, 즉 부모가 일찍 성장을 멈추었거나 엄마의 초경이 몹시 빨랐다면 성조숙증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 두유나 콩 계란노른자 같은 음식을 많이 먹으면 성조숙증에 걸릴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음식과 성조숙증은 연관이 없다고 한다.
성조숙증의 증상
여아의 경우 가슴에 멍울이 잡히고 부딛히면 통증이 있는 경우, 정수리 냄새가 지독하게 나고, 피지 분비와 여드름, 냉 같은 분비물이 발생하고 음모가 발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남아이 경우 고환이 커지기 시작하고, 음경이 길어지면서 색깔도 변한다. 목젖이 발달하고 변성기가 시작된다. 여아와 마찬가지로 정수리 냄새 피지 분비, 여드름이 생긴다.
그래서 병원에 검사를 위해 방문하게 되면 여아의 경우 가슴에 멍울이 잡히는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며 남아의 경우는 고환의 크기를 체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 성조숙증의 공통적 증상으로 정수리 냄새가 나고 땀냄새가 지독하게 나고 성장속도가 연간 7 센티 이상으로 빨라진다.
성조숙증의 진단
엑스레이를 통한 뼈나이를 검사를 해 뼈 나이가 1년 이상 빠른 경우.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자극 검사라는 것을 하게 되는데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유사체를 주사로 투여한 후 15분에서 30분 간격으로 2시간 동안 혈액 속에서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황체형성 호르몬 농도가 5 IU/L 이상으로 나타나면 성조숙증으로 진단된다. 남아의 경우는 고환의 크기를 재어 성조숙증을 판단하기도 한다.
성조숙증 예방법
비만은 성조숙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이미 알려진 바 있기 때문에 양질의 식품을 적당히 섭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여 비만이 되지 않게끔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성장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되는 시간인 밤 11시에서 2시 사이에 충분히 수면할 수 있어야겠다.
성조숙증의 치료
성조숙증으로 진단되게 되면 성조숙증 주사라고 불리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를 주사하는 방식으로 치료한다. 이는 4주, 12주, 24주 간격으로 주사하는데 호르몬을 적정수치로 유지시켜줌을 통해 2차 성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끔 하고 비정상적인 성장 속도와 골연령을 진행도 늦추게 된다. 호르몬을 일정 수치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한 치료이므로 정해진 기간에 반드시 맞아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주사를 맞고 목욕, 수영, 운동등 일상생활을 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기 때문에 불편함은 없다. 3~6개월 마다 수치가 알맞게 유지되고 있는지 그로 인해 적정하게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체크하는 과정이 있다.
치료는 아이에게 가장 적절한 시점에 의사와 보호자가 상담하여 결정하는데 우리 아이는 예상키의 10센티를 남기고 치료를 종료하는 게 좋겠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여자아이의 경우 성조숙증 주사를 맞지 않게 되면 곧 생리를 시작하게 되고 생리가 시작되면 보통 10센티 정도 더 성장한다고 한다.
처음 아이가 성조숙증 진단을 받았을때 5.2라는 수치를 진단받고 수치가 별로 높지 않으니 괜찮겠지? 인위적으로 주사를 맞아 인체의 섭리를 무시해 되려 부작용을 겪는 건 아닐까? 하는 두려움에 치료를 일 년간 미루었었다.
하지만 무지했던 탓에 일년 사이 아이는 좀 더 사춘기가 진행되고 있었고 뼈 나이도 진행되고 성장판도 확연히 더 닫혀버린 모습을 보게 되었다. 부랴부랴 그제야 치료를 진행했던 기억이 있다. 지금 아이는 매달 한번 주사를 맞으며 잘 치료를 하고 있고 얼마 전 검사를 통해 기대한 대로 잘 성장하고 있고 치료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의사의 답변을 들었다. 성조숙증이 감기나 배탈처럼 흔히 접하고 잘 아는 병이라면 치료받기를 주저하지 않겠지만 생소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영역이라 보니 치료를 주저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개인으로 가입한 실비보험도 청구가 되고(일부 검사항목은 지급제외) 만 10세 생일 전날까지 치료가 시작되면 의료보험도 적용이 되니 뒤늦게 후회 하지말고 조금이라도 의심스럽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검사받고 치료를 받아 볼 것을 권한다.
'일상(Life) >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선염의 증상과 치료 (1) | 2022.10.04 |
---|---|
지독한 입냄새? 편도결석? (1) | 2022.10.04 |
아스퍼거 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0) | 2022.10.03 |
치아 홈메우기로 우리 아이의 치아를 지켜요 (0) | 2022.10.02 |
댓글